[뉴스프라임] 시민 떨게 하는 '들개'…일부 지자체, 집중포획까지<br /><br /><br />최근 서울 도심 주요 산지와 주변 산책로를 넘어 거주지까지 들개가 출몰하면서 시민들을 놀라게 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공격을 당해 다치는 경우도 발생하고 있는데요.<br /><br />이에 서울시가 야외활동이 늘어나기 전에 들개 집중포획에 나선다는 계획입니다.<br /><br />하지만 포획만이 능사는 아니라는 지적도 나오는데 관련 내용, 이웅종 연암대 동물보호계열 교수와 살펴보겠습니다.<br /><br /> 지난달 부산에서 공원을 산책하던 시민이 들개에게 물려 얼굴에 큰 상처를 입었습니다. 또 최근 서울 주요 산 산책로에서도 들개가 위협한다는 관련 신고가 잇따르고 있는데요. 산속에서 지내는 들개가 도심으로 내려오는 이유가 뭔가요?<br /><br /> 서울 시내에만 200여 마리 들개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습니다. 이 때문에 서울시가 15일부터 내달 31일까지 관악산, 북한산 등 도심 주요 산지와 주변 산책로를 중심으로 들개 집중포획에 나설 계획인데요. 수의사와 마취포획전문가로 구성된 포획팀과 2인 1조 수색팀을 운영한다고 하는데 어떤 식으로 포획이 이뤄지나요?<br /><br /> 들개가 위협의 대상인만큼 각 지자체에서 상시로 들개 포획 활동이 진행되고 있지만 성공률은 높지 않다고 하는데, 어떤 이유 때문인가요?<br /><br /> 대부분 키우던 개들이 사람 손길을 벗어나면서 들개가 된 경우가 많다고 하는데요. 원래 사람과 함께 지내다 거리로 내몰린 들개와, 유기견 출신의 들개가 낳아 산에서 길러진 들개의 공격성은 다를 것 같은데요?<br /><br /> 이 때문에 야생화된 유기견인 들개는 동물보호법에 '유기동물'로 규정돼 있어 소극적인 대처밖에 할 수 없다며 유해야생동물로 분류해 포획 방법을 바꿔야 한다는 지적도 나옵니다. 그러나 유해야생동물에 포함해 사살하는 게 최선일까 하는 의문도 드는데요?<br /><br /> 들개가 사람을 공격하기 전 경고를 보내는 특성이 있다고요? 어떤 식의 행동을 취하나요?<br /><br /> 만약 들개를 마주쳤다면, 어떻게 해야 안전한가요?<br /><br /> 포획된 들개가 어떻게 되는지도 궁금한데요?<br /><br /> 유기동물 공고가 종료된 개는 동물보호 단체와 협력해 사회화 훈련 후 입양자를 찾게 된다고 하셨는데요. 야생화된 적이 있는데, 이후 사람들과 함께 생활하는 데 무리가 없을까요?<br /><br /> 영상에서 보셨듯이, 들개를 줄이기 위해선 포획 같은 사후 대책이 아닌 유기견을 줄이는 근본적인 대책이 필요할 것 같아요. 특히 연휴가 긴 명절은 평소보다 많은 반려견이 유기되는 기간이라고 하더라고요? 왜 그런가요?<br /><br /> 반려동물을 유기하는 것은 명백한 범죄이죠?<br /><br /> 반려동물을 키우는 인구가 1천만명을 넘었지만, 반려견에 대한 인식 개선과 건강한 문화를 만들기까지는 아직 가야 할 길이 먼 것 같습니다. 어떤 노력이 필요할까요?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